책 이야기

보이지 않는 고릴라 / 크리스토퍼 차브리스, 대니얼 사이먼스

몽실사랑 2013. 1. 13. 20:26

독특한 제목의 책 한권을 선물받았다..

"보이지 않는 고릴라"라니...

덩치 큰 고릴라가 왜 안보일까 라는 의문점을 가지고 책을 읽기 시작했다.

책을 읽다 보니 이 책의 제목이 이해되었다..

정말 보이지 않는 고릴라인 것이다...ㅋㅋㅋ

 

하버드대 심리학과 대학원에서 인간의 인지력에 대한 실험을 했다.

그 실험내용은 농구영상을 보여주면서 농구공을 몇번 패스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농구경기 장면 중 고릴라가 등장해서 카메라 앞까지 오는데

영상을 본 대다수의 사람들이 그 고릴라를 기억하지 못하는 것이었다.

사람들은 농구공의 패스에만 신경쓰는라 그 외의 화면내용엔 관심이 없었던 것이다.

그래서 커다란 고릴라가 바로 앞에서 가슴을 치고 걸어가도 인식을 못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인식의 오류는 기대하지 못한 사물에 대한 주의력 부족의 결과이며

과학적으로는 '무주의 맹시 inattentional blindness'라 부른다고 한다.

 

"보이지 않는 고릴라"는 이러한 사람들의 "착각"에 대한 이야기를 쓴 심리교양서이다.

즉, 인간은 자기가 보고 싶은 것만 본다는 것이다.

내가 생각하는 것, 내가 봤다고 믿었던 것이 결국은 "착각"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책은 불완전한 인간의 인지능력에 대한 한계를

‘주의력 착각’ ‘기억력 착각’ ‘자신감 착각’ 등 6가지 착각으로 분류하고 있다.

 

제1장 주의력 착각 “제가 봤다고 생각합니다!”

제2장 기억력 착각 선수의 목을 조른 감독

제3장 자신감 착각 똑똑한 체스 선수와 멍청한 범죄자의 공통점

제4장 지식 착각 기상캐스터와 펀드매니저의 차이점

제5장 원인 착각 성급하게 결론짓기

제6장 잠재력 착각 빨리 똑똑해지는 방법 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각 장에서는 다양한 실험내용과 우리들이 범하게 되는 오류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왜 덩치 큰 고릴라가 보이지 않는 것일까?

나의 기억이 항상 정확하다는 걸 확신할  수 있나?

어렸을 때 모짜르트의 음악을 들으면 똑똑해 진다는 데 과연 사실일까??

자신감이 큰 사람은 정말 똑똑한 것일까?

 

우리는 무수히 많은 착각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심리학 책이라고 어렵게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의외로 재밌게 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