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내년도 예산에서 비정규직 사서 인건비를 대폭 삭감, 도내 수십명의 사서들이 일자리를 잃게 될 위기에 놓인 가운데 경기도교육청이 기존과 동일한 사서 인건비를 지원하는 방침을 수립하는 등 대책방안을 마련했다. 이에 따라 70명의 비정규직 사서가 일자리를 유지할 수 있게 됐다. 27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경기도가 재정감소 등의 이유로 내년도 예산에서 도서관 지원비(사서인건비+도서지원비)를 올해보다 17억여원 줄여 책정함에 따라 그동안 지원비를 받아오던 604개 학교 중 70개 학교가 사서를 고용할 수 없게 됐다. 도내 1천842개의 도서관 설치 학교 중 604개교(32.7%)가 사서 인건비를 지원받아 그나마 사서를 고용한 도서관을 운영할 수 있었으나 예산이 삭감됨에 따라 사서를 둘 수 있는 학교가 534개교(28.9%)로 대폭 줄어들게 된 것이다. 이같은 문제점이 중부일보를 통해 제기되자 도교육청은 학교 자체 부담 비용 비율을 늘려 줄어든 예산을 메우는 방식을 도입, 기존과 동일한 사서수를 유지하기로 27일 결정했다. 이에 따라 기존 사서 고용 학교의 경우 도교육청이 66%의 인건비를 부담하고 학교는 34%의 인건비만을 부담해 왔으나 내년부터는 학교의 인건비 부담비율이 42%로 높아졌다. 이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사서를 고용한 학교의 연간 인건비 평균 부담 비용은 지난해보다 30만원 늘어난 830여만원이 될 전망이다. 도교육청은 내년 중순까지 지역 교육청을 통해 사서인건비 지원을 요청하는 학교들의 신청을 받은 후 심사를 거쳐 380개 초등학교(사립 3개), 139개 중학교(사립 13개), 47개 고등학교(사립 1개) 등 604개교의 사서인건비 지원학교를 지역별로 안배,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도교육청 학교도서관활성화 추진팀 허춘자씨는 “사서 일자리 수 보장은 물론 학교 도서관의 파행 운영을 막기 위해 대책을 마련했다”며 “학교 부담을 조금이라도 덜어주기 위해 사서 인건비 부담률의 경우 학교 규모에 따라 차등을 둘 것”이라고 말했다.
이동규기자/dk7fly@joongboo.com
| |